오염수 방류 찬성 58%→30%…日여론 돌변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원전) 오염수 방류 여부를 두고 일본의 여론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약 20일 사이 찬성 여론이 과반에서 약 30%로 크게 떨어진 것이다. 일본인들은 정부의 오염수 방류 강행이 일본의 ‘국가 이미지’에 줄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일본 ‘교도통신’은 지난 19일(현지시간)부터 이틀간 전국 시민을 대상으로 전화 여론조사를 진행한 결과, 오염수 방류에 찬성하는 일본인은 29.6%, 반대 의견은 25.7%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어느 쪽이라고 말할 수 없다’를 택한 응답자는 43.8%로 가장 우세했다.

앞서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지난달 30일 진행한 여론조사에서는 방류에 찬성한다는 의견이 58%로 과반을 차지했다. 반면 반대 의견은 30%에 불과했다. 수주일 사이에 반대 의견은 별다른 변동 없었으나, 찬성 여론은 크게 위축된 것이다.

오염수 방류에 대한 일본 여론이 회의론으로 돌아선 것은 ‘국가 이미지’에 대한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원전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이른바 ‘소문 피해’가 일어난다고 답한 비율은 88.1%에 달했다.

실제로 오염수 방류 문제는 일본과 인접국 사이에 크고 작은 마찰을 일으키고 있다. 앞서 국내에서는 전남, 제주 등 어민 사회 위주로 오염수 방류에 반발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태평양 섬 국가들도 민감하기는 마찬가지다. 호주, 뉴질랜드, 피지 등 14개 도서국으로 구성된 ‘태평양도서국포럼은 올해 초 피지 수바에서 열린 회의에서 일본 정부에 방류 결정을 연기해 줄 것을 촉구했다.

헨리 푸나 태도국 사무총장은 “우리 지역은 모든 관련 당사자가 안전을 확인할 때까지 (오염수) 배출이 없어야 한다는 점을 확고히 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들은 태평양 섬나라의 주요 사업장인 어장이 오염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일본 어민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기는 마찬가지다. 오염수 방류 문제는 일본의 해산물 이미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사카모토 마사노부 일본 전국어업협동조합연합회장은 21일 도쿄 총리관저에서 기시다 후미오 총리를 만나 면담을 했으나, 끝까지 “반대에는 조금도 변함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NHK 방송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오는 24일 오염수 해양 방류를 시작하는 방향으로 최종 조율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기시다 총리는 이르면 오늘(22일) 각료 회의에서 구체적인 일정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원전 오염수를 ‘처리수’라는 명칭으로 칭한다.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통해 대부분의 방사성 핵종을 제거한 상태로 물탱크에 저장해 뒀다는 뜻이다.

앞서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 계획이 국제 안전기준에 부합한다는 조사 결과를 밝힌 바 있다. 다만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방류를 시작한 이후로도 계속해서 안전성을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